르노 카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노 카뮈는 프랑스의 작가이자 "거대한 대체" 음모론의 주창자이다. 1946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소르본 대학교에서 문학 학위를 받았으며, 소설, 연대기, 정치 저술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거대한 대체" 이론을 통해 비유럽인, 특히 아프리카와 중동 출신의 이민자들이 유럽의 백인 인구를 대체하려 한다는 주장을 펼쳤고, 이 이론은 극우 백인 민족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여러 폭력 사건과 연관되었다. 카뮈는 자신의 이론이 폭력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그의 사상은 반유대주의 논란과 민주주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퓌드돔주 출신 - 로베르 브레송
로베르 브레송은 아마추어 배우를 '모델'로 활용하는 독자적인 연출, 가톨릭 신앙에 영향받은 구원과 영혼에 대한 주제, 미니멀리즘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는 프랑스 영화 감독이다. - 퓌드돔주 출신 - 조르주 바타유
조르주 바타유는 프랑스의 작가, 철학자, 비평가로서 초현실주의와 관련을 맺었으나 독자적인 사상을 구축하고, 금기시된 주제 탐구와 기저 유물론, '일반 경제' 개념을 통해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20세기 후반 프랑스 사상계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인물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성소수자 인물 - 피에르 가르뎅
피에르 가르뎅은 미래지향적 디자인과 유니섹스 스타일로 아방가르드 패션을 선보이고 기성복 시장을 개척하며 라이선스 비즈니스로 브랜드 이미지를 확장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출신 프랑스 패션 디자이너이다. - 성소수자 소설가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 성소수자 소설가 - 버지니아 울프
20세기 영국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버지니아 울프는 모더니즘 문학의 선구자이자 의식의 흐름 기법의 대가로, 블룸즈베리 그룹의 핵심 인물로서 인간 내면 의식과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다 자살로 생을 마감했지만 페미니즘과 모더니즘 문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르노 카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장 르노 가브리엘 카뮈 |
출생일 | 1946년 8월 10일 |
출생지 | 프랑스 샤말리에르 |
필명 | J. R. G. 르 카뮈 |
학력 | |
교육 | 소르본 대학교 파리 제2대학교 판테옹-아사스 시앙스 포 |
경력 | |
주요 작품 | 트릭스 (1979년) 위대한 대체 (2011년) |
수상 | 페네옹상 (1977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아미크상 (1996년) |
개인 정보 | |
정치 활동 | |
정당 | 사회당 (1970년대–1980년대) (2002년–현재) SIEL (2015년–현재) |
2. 초기 생애 및 작가 경력 (1946–1995)
프랑스 중부 오베르뉴의 샤마리에르에서 1946년 태어난 르노 카뮈는 부르주아 가정에서 성장했다.[11][14][12] 젊은 시절 사회주의자였으며 1968년 5월 혁명 당시 성소수자 인권 옹호 시위에 참여했다.[14]
소르본 대학교, 파리 정치연구소, 파리 팡테옹 아사스 대학교 등에서 문학, 철학, 정치학, 법학 등을 공부했으며,[15][16] 이후 미국 헨드릭스 칼리지에서 강의하고 출판사에서 편집자 및 문학 자문으로 활동했다.[15]
1978년 파리에 정착한 후 롤랑 바르트, 앤디 워홀 등과 교류하며 작가 활동을 본격화했다.[12] 1977년 소설 ''Échange''로 ''페네옹 상''을 수상했고,[17] 1979년에는 자신의 동성애적 경험을 담은 ''Tricks''를 출간하여 주목받았다.[20] 이 시기 프랑스 게이 잡지 ''게이 피에''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으나,[22][12] 스스로를 "동성애 작가"로 규정하는 데는 유보적이었다.[23]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사회당 당원으로 활동하며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 프랑수아 미테랑을 지지했으나,[14] 이후 당의 노선 변화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26] 1992년에는 옥시타니 지역 플리에의 14세기 성을 구입하여 거주하며 복원 작업을 시작했다.[12]
2. 1. 가족 및 교육 (1946–1977)
장 르노 가브리엘 카뮈[9]는 1946년 8월 10일[10] 프랑스 중부 오베르뉴의 시골 마을인 샤마리에르에서 태어났다.[11][14] 그는 부르주아 가정에서 자랐으며,[12] 아버지는 기업가 레옹 카뮈, 어머니는 변호사 카트린 구르디아였다.[13] 성 정체성을 공개한 후 부모로부터 유산을 받지 못했다.[14] 21세 때 사회주의자였으며, 1968년 5월 혁명 당시 성소수자 인권 옹호 시위에 참여했다.[14]카뮈는 1963년 오베르뉴의 클레르몽페랑에서 철학 바칼로레아를 취득했다. 이후 영국 옥스퍼드의 세인트 클레어 칼리지에서 1년(1965–1966)을 보냈다. 그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프랑스 문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1969), 파리 정치연구소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970).[15][16] 또한 파리 팡테옹 아사스 대학교에서 정치학(1970) 및 법학사(1971)로 두 개의 고등 연구 석사(DES) 학위를 취득했다.[15]
그는 1971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 아칸소주 컨웨이의 헨드릭스 칼리지에서 프랑스 문학을 가르쳤으며, 1972년부터 1976년까지 백과사전 출판사 그롤리에에서 정치학 편집자로 일했다. 동시에 1970년부터 1976년까지 프랑스 출판사 데노엘 출판사에서 전문 독자이자 문학 자문으로 활동했다.[15]
2. 2. 동성애 작가로서의 활동 (1978–1995)
1978년 파리에 정착한 카뮈는 롤랑 바르트, 앤디 워홀, 길버트 앤 조지와 같은 작가 및 예술가들과 교류했다.[12] 그는 소설 ''Échange''로 1977년 ''페네옹 상''을 수상했다.[17]일부 영어권 언론에서는 카뮈를 회고적으로 "아슬아슬한 게이 작가"[12][19]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1979년, 그는 철학자 롤랑 바르트의 서문과 함께 프랑스 등지에서의 동성애적 만남을 기록한 연대기 형식의 작품 ''Tricks''를 출판했다. 이 책은 카뮈의 저작 중 가장 널리 번역된 작품이다.[20] 1980년에 출간된 ''Tricks''와 ''Buena Vista Park''는 당시 LGBT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21][22][19] 카뮈는 프랑스 게이 잡지 ''게이 피에''의 칼럼니스트이기도 했다.[22][12] 이러한 행보로 인해 미국 잡지 ''더 네이션''은 그를 "게이 아이콘"으로 지칭하기도 했지만,[19] 카뮈 자신은 1982년까지 스스로를 "동성애 작가"로 규정하는 것을 거부했다.[23]
정치적으로 카뮈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사회당의 당원이었으며,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프랑수아 미테랑에게 투표했다.[14]
1992년, 46세가 된 카뮈는 파리 아파트 매각 자금으로 옥시타니 지역의 마을 플리에에 있는 14세기 성을 구입하여 복원하기 시작했다.[12]
3. '거대한 대체' 이론
르노 카뮈의 핵심 사상인 "거대한 대체"(Grand remplacement) 이론은 유럽의 백인 인구가 비유럽계 이민자들, 특히 아프리카와 중동 출신 이슬람 신자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음모론이다.[34][2][35] 카뮈는 이 과정을 "대체에 의한 학살"이라고 부르며, 이른바 "대체주의 엘리트"가 배후에서 이를 조종하고 있다고 주장한다.[2][35]
카뮈는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L'Abécédaire de l'in-nocence』와 『Le Grand Remplacement』를 출간하며 이 이론을 본격적으로 알리기 시작했다.[34] 그는 자신의 이론을 확산시키기 위해 2010년 12월과 2012년 11월 극우 단체인 블록 이덴티테르가 주최한 컨퍼런스에 참여했으며,[24] 2017년 11월에는 카림 우치크 등과 함께 범유럽 극우 운동체인 유럽 저항 국민 협의회를 설립했다.[36][37][38][39]
2017년, 프랑스 철학자 알랭 핀켈크라우트가 공영 라디오 방송 프랑스 퀴르에서 카뮈를 초청해 "거대한 대체"에 대해 토론하게 하여 큰 논란을 빚었다. 핀켈크라우트는 카뮈가 만든 표현이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을 들어 초청을 정당화했지만, 극우 인물에게 공론의 장을 열어주었다는 비판을 받았다.[6][40] 같은 해 미국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열린 우익 통합 시위에서 백인 우월주의 시위대가 "우리를 대체하지 못할 것이다", "유대인은 우리를 대체하지 못할 것이다"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카뮈의 이론이 다시 주목받았다.[41] 카뮈는 폭력이나 나치즘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백인 미국인들의 분노를 이해하고 공감한다고 밝혔다.[42] 2018년에는 국제 독자를 대상으로 직접 영어로 쓴 책 『You Will Not Replace Us!』를 출간했다.[43]
카뮈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거대한 대체" 이론을 꾸준히 유포했으며, 2021년 10월 계정이 영구 정지되기 전까지 약 54,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했다.[44][45] 그의 계정은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후 단행된 일반 사면 정책에 따라 2023년 1월 복구되었다.[46]
3. 1. 이론의 발전 (1996–2011)

카뮈는 2016년 영국 잡지 ''더 스펙테이터''와의 인터뷰에서 1996년에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당시 에로 데파르트망에 대한 가이드북을 편집하던 중, "아주 오래된 마을에서 ... 인구가 완전히 바뀌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주장하며 "이때부터 나는 그런 식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12]
카뮈는 한때 좌익 주권주의자 정치인 장피에르 슈베네망을 지지했고, 이후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생태주의자 후보 노엘 마메르에게 투표했다.[14] 같은 해, 그는 자신의 인종차별주의적 성향을 드러내는[24] '파르티 드 랭-노상스'(Parti de l'In-nocence, "무해 정당")를 창당했다. 이 정당은 2012년 대통령 선거가 되어서야 공개적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12] 모든 이민자와 그 가족을 출신 국가로 돌려보내는 재이주를 옹호하고 미래의 이민을 완전히 중단할 것을 주장한다.[20]
그는 자신의 "거대한 대체" 이론을 이해하는 열쇠가 2002년에 출판한 미학에 관한 책, ''듀 상스''(Du Sens, "의미에 관하여")에 있다고 말했다.[12] 이 책에서 그는 플라톤과 크라튈로스의 대화에서 영감을 받아 "프랑스"와 "프랑스어"라는 단어가 법적인 개념이 아닌 자연적이고 물리적인 현실과 같다고 주장했다. 이는 샤를 모라스가 "합법적인 국가"와 "실제 국가"를 구분한 것과 유사한 형태의 크라튈로스주의이다.[58] 또한 카뮈의 이론은 1973년 이민과 서구 문명의 파괴를 다룬 소설 성자들의 수용소를 출판한 장 라스파이유의 영향을 받았다.[25]
3. 2. 정치 활동 (2012–현재)
카뮈는 201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자 했다. 그는 2002년 창당했으나[24] 2012년 대선까지 공개적으로 활동하지 않았던[12] 자신의 정당 '무해당'(Parti de l'In-nocence)을 통해 재이주, 즉 모든 이민자와 그 가족을 출신 국가로 돌려보내고 향후 이민을 중단할 것을 주장했다.[20] 또한 "외국 태생 범죄자 송환"과 같은 제안과 더불어 "풍력 발전소 폐지", "길가 광고 금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대 레바논을 중동 기독교인을 위해 인정하는 것" 등 프랑스 정치에서 다소 이례적인 공약들도 내걸었다.[12] 그러나 그는 출마에 필요한 선출직 대표의 충분한 서명을 얻지 못해 출마 자격을 얻는 데 실패했고,[26] 결국 국민전선의 마린 르 펜을 지지했다.[26][27] 이 선거 운동 중 카뮈는 과거 자신이 속했던 사회당에 대해 "사회당은 '문명을 바꾸기 위해'라는 정치 프로그램을 발표했지만, 우리는 반대로 문명 변경을 거부하는 사람들 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26]2015년에는 Riposte Laïque의 피에르 카센, 스위스 국민당의 장-뤽 아도르 등 유럽의 다른 극우 인사들과 함께 페기다 프랑스 지부 창설을 시도하기도 했다.[28][29]
2017년 12월, 카뮈는 "2017년 대선이 정치적 해결의 마지막 기회였다"며, "2022년에는 점령자, 침략자(즉, 이민자)가 투표하고 선거의 주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해결책은 더 이상 정치적이지 않다"고 발언하며 정치적 해법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드러냈다.[24]

2019년 5월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카림 우시크와 함께 출마했다. 이들은 선거 운동에서 "우리는 유럽을 떠나지 않고, 아프리카가 유럽을 떠나게 할 것이다"라는 구호를 내걸었다.[30][31] 그러나 선거 운동 중, 그의 명단에 포함된 한 후보자가 해변에 그려진 거대한 나치 만자(스와스티카)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는 사진이 소셜 미디어에 퍼지면서 논란이 되었다. 카뮈는 만자가 "자신이 평생 싸워온 모든 것의 정반대"라고 주장했으나, 결국 선거에서 사퇴했다.[19][32]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극우 성향의 평론가이자 후보였던 에리크 제무르를 지지했다.[33]
4. 주요 관점
르노 카뮈는 현대 프랑스의 작가이자 정치 평론가로, 특히 "거대한 대체"(Grand Remplacement프랑스어)라는 음모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이론은 유럽의 백인 인구가 비유럽계, 특히 무슬림 이민자들에 의해 인구학적, 문화적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주장을 핵심으로 한다.[2][34][35] 카뮈는 이러한 현상을 "대체에 의한 학살"이라고까지 표현하며, 이를 막기 위한 정치적, 사회적 저항을 촉구한다.[2][35]
그의 이러한 주장은 백인 우월주의 및 극우 테러리즘과 연관되어 심각한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로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2019년 엘패소 총기 난사 사건, 2022년 버펄로 총기 난사 사건 등 여러 극우 테러 사건의 범인들이 카뮈의 이론을 직접 언급하거나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했다.[65][66][67] 카뮈 자신은 폭력 행위를 비난하지만, 그의 이론이 폭력을 정당화하거나 조장할 수 있다는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5][6]
또한 카뮈는 과거 프랑스 문화계 내 유대인의 영향력에 대한 발언으로 반유대주의 논란에 휩싸인 바 있으며,[51][19] 민주주의와 다문화주의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58] 한편, 공개적인 동성애자로서 성소수자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발언하는데, 특히 보수적인 이슬람 문화 내의 동성애 혐오를 비판하며 이를 반이민 정서와 연결시키기도 한다.[58][22]
4. 1. '거대한 대체' 음모론
르노 카뮈는 2016년 영국 잡지 ''더 스펙테이터''와의 인터뷰에서 1996년 에로 데파르트망에 대한 가이드북을 편집하던 중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아주 오래된 마을에서 인구가 완전히 바뀌었다는 것을 갑자기 깨달았다"고 주장하며, 이때부터 '거대한 대체'와 관련된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12]
카뮈는 과거 좌익 주권주의자 정치인 장피에르 슈베네망을 지지했고, 2002년 대선에서는 생태주의자 후보 노엘 마메르에게 투표하기도 했다.[14] 그러나 같은 해, 그는 인종차별주의 정당[24]인 '파르티 드 랭-노상스'(Parti de l'In-nocence프랑스어, "무해 정당")를 창당했다. 이 정당은 2012년 대선이 되어서야 공개적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12] 모든 이민자와 그 가족을 출신 국가로 돌려보내는 재이주를 옹호하고 미래의 이민을 완전히 중단할 것을 주장한다.[20]
카뮈는 자신의 "거대한 대체" 이론을 이해하는 열쇠가 2002년에 출판한 미학에 관한 책, ''듀 상스''(Du Sens프랑스어, "의미에 관하여")에 있다고 말했다.[12] 이 책에서 그는 플라톤과 크라튈로스의 대화에서 영감을 받아 "프랑스"와 "프랑스어"라는 단어가 법적인 개념이 아닌 자연적이고 물리적인 현실과 같다고 주장했다. 이는 샤를 모라스가 "합법적인 국가"(pays légal프랑스어)와 "실제 국가"(pays réel프랑스어)를 구분한 것과 유사한 형태의 크라튈로스주의이다.[58] 또한, 카뮈는 1973년 이민과 서구 문명의 파괴를 다룬 소설 성자들의 수용소를 쓴 장 라스파이유의 영향을 받았다.[25]
2010년 『L'Abécédaire de l'in-nocence』("무해의 ABC")와 2011년 『Le Grand Remplacement』("거대한 대체")를 출간한 이후, 카뮈는 "거대한 대체"라는 음모론을 본격적으로 퍼뜨리기 시작했다.[34] 이 이론의 핵심은 '대체주의 엘리트'(élites remplacistes|엘리트 랑플라시스트프랑스어)가 백인 프랑스인과 유럽인을 몰아내기 위해 공모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대량 이주, 비유럽인의 인구 증가, 유럽의 출산율 감소를 통해 유럽 인구를 아프리카와 중동 출신의 이슬람 인구로 대체하려 하며, 카뮈는 이 과정을 "대체에 의한 학살"이라고 명명했다.[2][35] 카뮈는 자신의 이론을 홍보하기 위해 극우 단체인 블록 이덴티테르가 2010년 12월과 2012년 11월에 주최한 컨퍼런스에 참여했다.[24]
2017년 11월 9일, 카뮈는 카림 우치크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전국 레지스탕스 위원회를 모방한 '유럽 저항 국민 협의회'를 설립했다.[36] 이 범유럽 운동은 장-이브 르 갈루, 베르나르 루간, 바츨라프 클라우스, 필립 드윈터, 자니스 앳킨슨 등[37]으로 구성되었으며, "거대한 대체"와 유럽 이민에 반대하고 "대체주의 전체주의"를 물리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38][39] 같은 해, 프랑스 에세이 작가 알랭 핀켈크라우트는 공영 라디오 프랑스 퀴르의 토크쇼 『레플리크』에 카뮈를 초청하여 "거대한 대체"에 대해 토론하게 함으로써 논란을 일으켰다. 핀켈크라우트는 카뮈가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고 볼 수 없지만, 우리가 어디에서나 듣는 표현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결정을 정당화했다.[6][40]
2017년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열린 우익 통합 시위에서 백인 우월주의 시위대가 "우리를 대체하지 못할 것이다"와 "유대인은 우리를 대체하지 못할 것이다"라는 구호를 외친 사건 이후,[41] 카뮈는 자신이 나치즘이나 폭력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백인 미국인들이 대체되고 있다는 분노를 이해하며 그 감정에 동의한다고 밝혔다.[42] 2018년 11월에는 국제 독자를 대상으로 직접 영어로 쓴 책 『You Will Not Replace Us!』를 출간했다.[43]
카뮈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거대한 대체" 음모론을 계속해서 퍼뜨렸으며,[44] 2021년 10월 영구 정지될 당시 약 54,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었다.[45] 그의 계정은 트위터의 새로운 소유주 일론 머스크가 발표한 일반 사면 정책에 따라 2023년 1월 다시 활성화되었다.[46]
4. 2. 백인 민족주의 폭력과의 연관성
르노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이론은 백인 우월주의와 극우 테러리즘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 이론은 백인 유럽인이 비유럽계 이민자, 특히 무슬림 인구에 의해 인구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음모론에 기반한다.[2][35] 카뮈는 이 과정을 "대체에 의한 학살"이라고 명명하며,[2][35] 자신의 이론을 홍보하기 위해 극우 단체인 블록 이덴티테르가 주최한 컨퍼런스에 참여하기도 했다.[24]학자들은 카뮈의 이론이 백인에게 비백인을 실존적 위협으로,[65][66] 이민자를 제5열 또는 "내부의 적"으로 묘사함으로써 폭력 행위를 정당화하고 조장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한다.[67] 특히 카뮈가 비유럽 이민자와 그 자녀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민화", "점령자"와 같은 용어는 나치의 프랑스 점령에 빗댄 것으로,[68][69] 철학자 알랭 핀켈크로트는 이를 폭력에 대한 암묵적인 호소라고 비판했다.[70] 학자 니콜라스 방셀, 파스칼 블랑샤르, 아흐메드 부베케르 역시 "내전의 선포는 '거대한 대체' 이론에 암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며, 이 테제가 국가의 인종적 정의를 정당화한다고 분석했다.[48] 실제로 카뮈는 2014년, 무슬림을 "깡패", "군인", "프랑스 영토를 정복하고 기존 인구를 몰아내려는 집단의 무장 조직" 등으로 묘사하여 인종 증오 선동 혐의로 4000EUR의 벌금형을 선고받기도 했다.[49][12][50]
카뮈는 자신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여러 극우 테러 사건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비난하고 거리를 두었지만,[5][6][7][8] 그의 이론이 극단주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위험성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그는 폭력 사용에 반대한다고 밝혔으나, 동시에 비백인 이민에 대한 일종의 "반란"을 지지한다고 말하며 논란을 일으켰다.[6] 또한 "점령자[즉 이민자]의 행태"를 비난하면서도,[47] 경범죄와 이슬람 테러리즘 사이에 끊이지 않는 연결 고리가 있다고 주장하거나,[12] 테러리스트를 "점령자"로 묘사하는 등[24] 이민자 집단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는 발언을 이어갔다. 2017년에는 "정치적 해결책을 위한 마지막 기회는 지났다"며 "2022년에는 점령자, 침략자(즉, 이민자)가 투표하고 선거의 주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해결책은 더 이상 정치적이지 않다"고 선언하기도 했다.[24] 이러한 발언들은 그의 이론이 단순한 인구 통계학적 분석을 넘어, 폭력적인 저항을 암시하거나 정당화할 수 있다는 비판을 뒷받침한다.
4. 2. 1.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르노 카뮈는 극우 테러리스트들의 폭력 행위를 여러 차례 비난하고 부인했으나,[5][6][7][8] 크라이스트처치, 엘파소, 버펄로 총기 난사 사건 범인 등 일부 극우 테러리스트들은 그의 "거대한 대체" 음모론을 언급했다. 학자들은 카뮈의 이론이 백인에게 비백인을 실존적 위협으로,[65][66] 이민자를 제5열 또는 "내부의 적"으로 묘사하여 폭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67] 또한 카뮈가 비유럽 이민자와 그 자녀들을 "식민화", "점령자" 등 나치의 프랑스 점령에 빗댄[68][69] 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철학자 알랭 핀켈크로트는 폭력에 대한 암묵적 호소라고 비판했다.[70]"거대한 대체"는 크라이스트처치의 두 모스크에서 51명의 무슬림을 살해하고 40명에게 부상을 입힌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범인 브렌턴 해리슨 타란트의 선언문 제목이기도 했다. 카뮈는 이 학살을 비난하고 테러 공격으로 규정하면서도, 타란트가 자신의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프랑스의 이슬람 테러 행위에서 영감을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71] 그는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폭력 사용에는 반대하지만 비백인 이민에 대한 일종의 "반란"을 지지하며, 자신의 지지자 대다수의 신념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6] 한편, 학자 장-이브 카뮈는 타란트의 사상이 르노 카뮈의 이론보다 더 극단적이며, 장 라스파이유의 사상에 더 가깝다고 분석했다.[7]
4. 2. 2. 엘파소 월마트 총기 난사 사건
2019년 엘패소 총기 난사 사건은 르노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이론과 연관된 대표적인 극우 테러 사건 중 하나이다. 2019년 텍사스주 엘패소의 월마트 매장에서 발생한 이 총기 난사 사건으로 23명의 히스패닉 및 라틴계 시민이 사망하고 23명이 부상했다.[72][73]사건의 범인인 패트릭 크루시우스는 범행 전 The Inconvenient Truth|불편한 진실eng이라는 제목의 선언문을 게시했는데, 여기에는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범인의 선언문과 함께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이론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었다.[72][73] 이는 카뮈의 이론이 극우 테러리스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목된다.
학자들은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이론이 백인들에게 비백인 집단을 실존적 위협으로 인식하게 만들고,[65][66] 이민자들을 제5열이나 "내부의 적"으로 규정함으로써 폭력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67] 특히 카뮈가 비유럽 이민자와 그 후손들을 "식민화 세력"이나 "점령자"와 같은 용어로 묘사하는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의 프랑스 점령 상황에 빗대는 것으로,[68][69] 철학자 알랭 핀켈크로트 등은 이를 폭력에 대한 암묵적인 선동으로 해석하기도 했다.[70]
르노 카뮈 자신은 자신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발생한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 사건, 엘패소 총기 난사 사건, 버펄로 총기 난사 사건 등 극우 테러리스트들의 폭력 행위를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거리를 두었다.[5][6][7][8] 하지만 그의 이론이 극단주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위험성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
4. 2. 3. 버펄로 Tops 총기 난사 사건
2022년 5월 14일, 뉴욕주 버펄로에 위치한 Tops 슈퍼마켓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하여 10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했다. 피해자 13명 중 11명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74][75] 범인 페이튼 젠드론은 스스로를 백인 우월주의자라고 밝히며, 르노 카뮈의 극우 거대한 대체 음모론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76][77][78] 이 공격은 국내 테러 행위로 규정되었으며, 인종차별적 동기에 의한 범죄로 조사가 진행되었다.[74][75][76][77][78]젠드론의 성명서는 딜란 루프,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 그리고 크라이스트처치 모스크 총기 난사범인 브렌턴 태런트와 같은 다른 극우 총기 난사범들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79][80][81] 특히 해당 성명서의 약 28%는 태런트의 성명서를 표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82][83]
크라이스트처치, 엘파소, 그리고 버펄로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들은 모두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음모론을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학자들은 카뮈의 이론이 백인에게 비백인을 실존적인 위협으로 제시하고,[65][66] 이민자를 제5열 또는 "내부의 적"으로 묘사함으로써 폭력 행위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67] 특히 카뮈가 비유럽 이민자와 그 자녀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식민화"나 "점령자"와 같은 표현은 나치의 프랑스 점령에 빗댄 것으로,[68][69] 철학자 알랭 핀켈크로트는 이를 폭력에 대한 암묵적인 호소로 해석하기도 했다.[70] 카뮈 자신은 자신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폭력 행위에 대해 반복적으로 비난 의사를 표명했다.[5][6][7][8]
4. 3. 반유대주의 의혹
1994년 일기(2000년 ''라 캉파뉴 드 프랑스''라는 제목으로 출판)에서 르노 카뮈는 공영 라디오 프랑스 퀴르의 문학 평론가 패널 대다수가 유대인이며, 이들이 유대인 작가와 공동체 중심 문제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51][19] 이러한 주장은 마르크 베이츠만이나 장 다니엘과 같은 프랑스 언론인들로부터 반유대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52][19] 이 논란은 지식인 사회를 양분시켰는데, 프레데릭 미테랑, 에마뉘엘 카레르, 크리스티앙 콤바, 카미유 로랑스 등은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며 카뮈를 지지하는 사설을 발표한 반면, 자크 데리다, 세르주 클라르스펠트, 클로드 란츠만, 장피에르 베르낭, 필리프 솔레르스 등은 카뮈의 일기에서 드러난 인종차별주의와 반유대주의는 표현의 자유로 보호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사설을 발표했다.[52]이후 카뮈는 프랑스 유대인 보수 사상가들로부터 지지를 얻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알랭 핀켈크라우트는 2000년 논쟁 당시 카뮈를 옹호했으며, 2019년 인터뷰에서는 "인구 통계적 대체"는 "음모론이 아니다"라고 말하면서도 카뮈가 자주 언급하는 "대체에 의한 집단 학살" 개념과는 거리를 두었다.[19] 세파르딤 유대인 출신의 프랑스 보수 언론인 에리크 제무르 역시 카뮈 이론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이다.[40][53] 또한, ''Dreuz.info'', ''Europe-Israël'', ''JssNews'' 등 프랑스어권 우익 및 극우 성향 유대인 웹사이트들도 카뮈의 음모론을 긍정적으로 다루며 그의 저서를 연구하도록 독자들에게 권장했다.[54]
정치학자 장이브 카뮈와 역사학자 니콜라 르부르는 르노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이론이 그 원형인 백인 학살 음모론과 달리 명시적인 반유대주의적 음모론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론 확산의 한 요인이었다고 분석했다.[55] 한편, 2017년 카뮈를 반유대주의자라고 비판했던 프랑스 언론인 얀 모익스는 2019년 3월 프랑스 항소법원에서 명예훼손으로 3000EUR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56] 그러나 이 판결은 2020년 1월 프랑스 파기원에 의해 파기되었는데, 법원은 모익스의 발언이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가 아닌, 원고의 인격에 대한 의견 및 가치 판단의 표현"이었다고 판단했다.[57]
4. 4. 민주주의와 다문화주의에 대한 입장
카뮈는 고등 문화가 쇠퇴한 것이라고 민주주의를 여기며, 엘리트가 문화를 지키는 체제를 선호하며, 따라서 다문화주의에 반대한다.[58]4. 5.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입장
카뮈는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이며,[22] 일부 영어권 언론에서는 그를 회고적으로 "아슬아슬한 게이 작가"라고 칭하기도 했다.[12][19] 1979년 그는 철학자 롤랑 바르트의 서문과 함께 프랑스 등지에서의 동성애적 만남을 묘사한 "연대기"인 ''Tricks''를 출판했는데, 이 작품은 카뮈의 가장 많이 번역된 저서로 남아있다.[20] 1980년에 출판된 ''Tricks''와 ''Buena Vista Park''는 당시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는다.[21][22][19] 카뮈는 프랑스 게이 잡지 ''게이 피에''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기도 했다.[22][12]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미국 잡지 ''더 네이션''은 그를 "백인 우월주의의 이데올로그가 된 게이 아이콘"이라고 칭했지만,[19] 정작 카뮈 본인은 1982년까지 "동성애 작가"라는 개념 자체를 거부했다.[23]
카뮈는 동성 결혼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지지를 표명했다.[22] 그는 보수적인 이슬람 내의 동성애 혐오와 게이 권리에 대한 반대가 반무슬림 정서를 정당화하는 근거가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주류 좌익 정치가 이슬람 옹호와 반인종차별을 우선시하느라 무슬림의 동성애 혐오에 대한 비판을 소홀히 한다고 비판했다.[58]
5. 영향력
르노 카뮈는 2010년과 2011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L'Abécédaire de l'in-nocencefra』("무해의 ABC")와 『Le Grand Remplacementfra』("거대한 대체")를 통해 "거대한 대체"라는 음모론을 퍼뜨리기 시작했다.[34] 이 이론은 소위 "대체주의 엘리트"가 백인 프랑스인과 유럽인을 몰아내기 위해 이민, 인구 증가, 유럽 출산율 감소를 통해 비유럽인, 특히 아프리카와 중동의 이슬람 인구를 들여와 인구를 교체하려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이 과정을 "대체에 의한 학살"이라고 부르며 극단적인 주장을 펼쳤다.[2][35] 카뮈는 자신의 이론을 확산시키기 위해 2010년 12월과 2012년 11월, 극우 단체인 블록 이덴티테르가 주최한 컨퍼런스에 참여하기도 했다.[24]
카뮈는 자신의 이론을 정치적으로 실현하려 시도했다. 2017년 12월에는 "정치적 해결책을 위한 마지막 기회는 2017년 대선이었으며, 2022년에는 이민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하여 선거의 주인이 될 것이므로 더 이상 정치적 해결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24] 카림 우치크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전국 레지스탕스 위원회를 모방한 유럽 저항 국민 협의회를 설립했다.[36] 이 조직은 장-이브 르 갈루, 베르나르 루간, 바츨라프 클라우스 등 유럽 각국의 극우 인사들이 참여했으며,[37] "거대한 대체"와 유럽 이민에 반대하고 "대체주의 전체주의"를 타파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38][39]
2019년 5월, 카뮈는 카림 우시크와 함께 "우리는 유럽을 떠나지 않고, 아프리카가 유럽을 떠나게 할 것이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유럽 의회 선거에 출마했다.[30][31] 그러나 선거 운동 중, 그의 선거 명부에 포함된 후보자가 해변에 그려진 거대한 만자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는 사진이 논란이 되자, 카뮈는 만자가 자신이 평생 싸워온 가치와 정반대된다고 주장하며 선거에서 사퇴했다.[19][32] 이후 202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또 다른 극우 논객이자 후보인 에리크 제무르를 지지했다.[33]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이론은 프랑스 사회 내에서도 논란을 일으켰다. 2017년, 프랑스의 유명 작가 알랭 핀켈크라우트는 공영 라디오 방송에서 카뮈를 초청하여 "거대한 대체"에 대해 토론하게 함으로써 큰 비판에 직면했다. 핀켈크라우트는 카뮈가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지만, 우리가 어디에서나 듣는 표현을 만들어냈다"며 초청 이유를 설명했지만, 극우 음모론에 공론의 장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6][40]
이 이론은 프랑스를 넘어 국제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2017년 미국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열린 극우 시위에서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우리를 대체하지 못할 것이다", "유대인은 우리를 대체하지 못할 것이다" 등의 구호를 외친 사건 이후,[41] 카뮈는 자신이 나치즘이나 폭력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백인 미국인들이 인구 대체에 대해 느끼는 분노를 이해하고 공감한다고 밝혀 논란을 더했다.[42] 그는 2018년 영어로 『You Will Not Replace Us!eng』라는 책을 출간하며 자신의 이론을 국제적으로 확산시키려 했다.[43] 캐나다의 극우 운동가 로렌 서던 역시 2017년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이 이론을 언급하며 대중화에 기여했다.[61][62][63] "거대한 대체" 이론은 유럽과 서구 세계 전반에 걸쳐 정체성주의라는 백인 민족주의 운동의 핵심 이념으로 자리 잡았다.[64]
프랑스 내 여론 조사 결과는 이 이론의 사회적 파급력을 보여준다. 2018년 프랑스 여론연구소(Ifop) 조사에서는 프랑스인의 25%가 "거대한 대체" 이론에 동의했으며, 특히 노란 조끼 운동 참여자 중에서는 46%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9] 2021년 해리스 여론조사(Harris Interactive)에서는 프랑스인의 61%가 "거대한 대체"가 실제로 일어날 것이라고 믿으며, 67%는 이를 우려한다고 답했다.[60]
카뮈는 자신의 이론이 폭력적인 공격이나 테러 행위로 이어지는 것에 대해 반복적으로 비난하며,[5][6][7][8] 이를 "점령자[이민자]의 행태"라고 주장했다.[47] 그는 모든 무슬림을 비난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지만, 경범죄와 이슬람 테러리즘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모든 테러리스트는 테러 행위 이전에 이미 경범죄 등으로 경찰에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12] 그는 또한 "테러리스트는 없다. 그들은 점령자일 뿐이며, 때때로 인질을 살해하여 누가 주인인지 상기시킨다"고 발언하기도 했다.[24]
그러나 학자들은 카뮈의 이론 자체가 폭력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니콜라스 방셀, 파스칼 블랑샤르, 아흐메드 부베케르 등은 "내전의 선포는 '거대한 대체' 이론에 암묵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 테제는 국가의 인종적 정의를 정당화한다"고 비판했다.[48] 실제로 카뮈는 2010년 한 컨퍼런스에서 무슬림을 "깡패", "군인", "프랑스 영토를 정복하고 기존 인구를 몰아내려는 무장 조직" 등으로 묘사하여, 2014년 인종 증오 선동 혐의로 4000EUR의 벌금을 선고받았고, 이 판결은 2015년 항소 법원에서 확정되었다.[49][12][50] 카뮈가 이민자를 "식민화", "점령자" 등의 용어로 묘사하며 나치의 프랑스 점령에 비유하는 것은,[68][69] 철학자 알랭 핀켈크로트에 의해 폭력에 대한 암묵적인 호소로 해석되기도 했다.[70]
카뮈 본인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그의 "거대한 대체" 이론은 크라이스트처치, 엘파소, 버펄로 총기 난사 사건 등 여러 극우 테러 범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자들은 카뮈의 이론이 비백인을 백인에 대한 실존적 위협으로 규정하고,[65][66] 이민자를 제5열 또는 "내부의 적"으로 묘사함으로써 폭력 행위를 정당화하고 조장할 위험이 크다고 분석한다.[67]
특히 2022년 미국 뉴욕주 버펄로의 슈퍼마켓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 페이튼 젠드론은 10명을 살해하고 3명에게 부상을 입혔는데, 희생자 대부분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젠드론은 스스로를 백인 우월주의자라고 밝히며 작성한 성명서에서 르노 카뮈의 "거대한 대체" 음모론에 대한 지지를 명시적으로 드러냈다. 이 사건은 국내 테러 행위이자 인종차별적 동기에 의한 범죄로 규정되었다.[74][75][76][77][78] 젠드론의 성명서는 딜런 루프,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 등 다른 극우 테러리스트들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있었으며, 상당 부분이 다른 테러범의 성명서를 표절한 것으로 밝혀졌다.[79][80][81][82][83]
카뮈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거대한 대체" 음모론을 퍼뜨렸으나,[44] 해당 계정은 2021년 10월 영구 정지되었다가 2023년 1월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후 복구되었다.[45][46]
6. 작품 목록
'''소설'''
- ''Passage''. 플라마리옹(Flammarion) (1975) ISBN 978-2080607829
- ''Échange''. 플라마리옹(Flammarion) (1976) ISBN 978-2080608925
- ''Roman roi''. P.O.L. (1983) ISBN 978-2867440052
- ''Roman furieux (Roman roi II)''. P.O.L. (1987) ISBN 978-2867440762
- ''Voyageur en automne''. P.O.L. (1992) ISBN 978-2867443022
- ''Le Chasseur de lumières''. P.O.L. (1993) ISBN 978-2867443725
- ''L'épuisant désir de ces choses''. P.O.L. (1995) ISBN 978-2867444494
- ''L'Inauguration de la salle des Vents''. 파야르(Fayard) (2003) ISBN 978-2213616643
- ''Loin''. P.O.L. (2009) ISBN 978-2846823524
'''연대기'''
- ''Journal d'un voyage en France''. 아셰트(Hachette) (1981) ISBN 978-2010067815
- ''Tricks''. P.O.L. (1979) ISBN 978-2818001387
- * 번역본. ''Tricks: 25 encounters''. 서펜트 테일(Serpent's Tail) (1995) ISBN 978-1852424145
- ''Buena Vista Park''. 아셰트(Hachette) (1980) ISBN 978-2010073052
- ''Incomparable'', with 파리드 탈리(Farid Tali). P.O.L. (1999) ISBN 978-2867447044
- ''Retour à Canossa. Journal 1999''. 파야르(Fayard) (2002) ISBN 978-2213614342
'''정치 저술'''
- ''Du sens''. P.O.L. (2002) ISBN 978-2867448812
- ''Le communisme du XXIe siècle.''. 제니아(Xenia) (2007) ISBN 978-2888920342
- ''La Grande Déculturation''. 파야르(Fayard) (2008) ISBN 979-1091681384
- ''De l'In-nocence. Abécédaire''. 다비드 레인하르크(David Reinharc) (2010) ISBN 978-2-35869-015-7
- ''Décivilisation''. 파야르(Fayard) (2011) ISBN 2-2136-6638-5
- ''Le Grand Remplacement''. 다비드 레인하르크(David Reinharc) (2011) ISBN 978-2-35869-031-7
- ''L'Homme remplaçable''. 자가 출판 (2012) ISBN 979-10-91681-00-1
- ''Le Changement de peuple''. 자가 출판 (2013) ISBN 979-10-91681-06-3
- ''Les Inhéritiers''. 자가 출판 (2013) ISBN 979-10-91681-04-9
- ''You Will Not Replace Us!''. 자가 출판 (2018) ISBN 979-1091681575
- ''Lettre aux Européens : entée de cent une propositions'' (with 카림 우쉬크). 자가 출판 (2019)
- ''Le Petit Remplacement''. 피에르-기욤 드 루(Pierre-Guillaume de Roux) (2019) ISBN 978-2491446758
- ''La Dépossession : ou Du remplacisme global''. 라 누벨 리브레리(La Nouvelle Librairie) (2022) ISBN 978-2493898289
- ''Enemy of the Disaster: Selected Political Writings of Renaud Camus'', edited with an introduction by 루이스 베티(Louis Betty). 보방 북스(Vauban Books) (2023) ISBN 979-8988739906
- ''The Deep Murmur: Preceded by Elegy for Enoch Powell''. 보방 북스(Vauban Books) (2024) ISBN 979-8988739913
참조
[1]
웹사이트
Camus, Renaud (1946 )
https://www.idref.fr[...]
Idref.fr
2022-08-31
[2]
서적
La revanche du nationalisme: Néopopulistes et xénophobes à l'assaut de l'Europ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3]
서적
Heroism as a Global Phenomenon in Contemporary Culture
Routledge
[4]
뉴스
To understand the far right, look to their bookshelves
https://www.theguard[...]
2019-04-01
[5]
뉴스
"You will not replace us": a French philosopher explains the Charlottesville chant
https://www.vox.com/[...]
2017-08-15
[6]
뉴스
New Zealand attacks offer the latest evidence of a web of supremacist extremism
https://www.washingt[...]
2019-03-15
[7]
웹사이트
The Inspiration for Terrorism in New Zealand Came From France
https://foreignpolic[...]
2019-03-16
[8]
웹사이트
The Global Roots of the Buffalo Shooting
https://foreignpolic[...]
2022-05-16
[9]
웹사이트
Entreprise Monsieur Jean Renaud Gabriel Camus à Plieux (32340)
https://entreprises.[...]
[10]
서적
Camus, Renaud (1946-....)
https://catalogue.bn[...]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11]
웹사이트
Le Gersois Renaud Camus, théoricien du "grand remplacement", candidat à la présidentielle 2017
https://france3-regi[...]
2016-05-30
[12]
뉴스
Non!
https://life.spectat[...]
2016-11-03
[13]
서적
Qui est qui en France
J. Lafitte
[14]
뉴스
Ce Camus qui n'aime pas l'étranger
https://www.lepoint.[...]
2013-10-14
[15]
웹사이트
Renaud Camus
http://www.pol-edite[...]
[16]
서적
L'étrangèreté
https://books.google[...]
TRICORNE
2003
[17]
서적
Etudes camusiennes
Rodopi
[18]
웹사이트
Renaud Camus
https://www.fayard.f[...]
2013-06-04
[19]
뉴스
How Gay Icon Renaud Camus Became the Ideologue of White Supremacy
https://www.thenatio[...]
2019-06-17
[20]
뉴스
The Man Behind a Toxic Slogan Promoting White Supremacy
https://www.nytimes.[...]
2019-09-20
[21]
뉴스
Je suis trop longtemps resté fidèle à Renaud Camus, ce traître homosexuel
http://www.slate.fr/[...]
2016-04-04
[22]
뉴스
Renaud Camus, des backrooms gays au "grand remplacement"
https://www.nouvelob[...]
2019-06-29
[23]
간행물
An Interview With Renaud Camus
Yal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Parti de l'In-nocence (PI)
https://www.france-p[...]
[25]
웹사이트
There Are No Lone Wolves
https://www.nytimes.[...]
2022-11-19
[26]
뉴스
Nous refusons de changer de civilisation
https://www.lemonde.[...]
2012-04-19
[27]
뉴스
L'écrivain Renaud Camus appelle à voter Le Pen
http://www.lefigaro.[...]
2012-03-27
[28]
웹사이트
Factsheet: Swiss People's Party (Schweizerische Volkspartei, SVP)
https://bridge.georg[...]
Georgetown University
2020-12-22
[29]
뉴스
Pegida : Renaud Camus lance une section française du mouvement anti-islam
https://atlantico.fr[...]
2015-01-20
[30]
뉴스
Européennes: l'écrivain Renaud Camus en tête de liste
http://www.lefigaro.[...]
2019-04-04
[31]
뉴스
Renaud Camus, le chantre du "grand remplacement", tête de liste aux européennes
http://www.leparisie[...]
2019-04-09
[32]
뉴스
Européennes : Renaud Camus "n'assume plus" sa liste à cause d'une co-listière
https://www.lexpress[...]
2019-05-22
[33]
웹사이트
How France's 'great replacement' theory conquered the global far right
https://www.france24[...]
2022-01-10
[34]
웹사이트
D'où vient l'expression 'remigration'?
https://www.lesoleil[...]
2017-08-19
[35]
간행물
C'est ça que tu veux ?
[36]
서적
Les écrivains et la politique en France - De l'affaire Dreyfus à la guerre d'Algérie
Le Seuil
[37]
웹사이트
À propos
https://www.cnre.eu/[...]
2017-11-29
[38]
뉴스
Charte constitutive
https://www.cnre.eu/[...]
2017-12-03
[39]
뉴스
Du jamais vu : deux listes anti-islam pour les élections européennes en France
https://www.francein[...]
2019-05-07
[40]
뉴스
French Islamophobia goes global
https://www.washingt[...]
[41]
뉴스
The Global Language of Hatred Is French
https://www.foreigna[...]
2019-04-01
[42]
뉴스
"You will not replace us": a French philosopher explains the Charlottesville chant
https://www.vox.com/[...]
2017-08-15
[43]
뉴스
La littérature, c'est le grand remplacement du monde
https://www.lepoint.[...]
2019-03-18
[44]
트윗
Le génocide par substitution est le crime contre l'humanité du XXIe siècle. Il n'est pas commis par le racisme mais par l'antiracisme, l'alliance des industriels de l'homme et des égalitaristes, qui forment ensemble le Bloc Génocidaire.
2023-02-16
[45]
웹사이트
"@RenaudCamus"
https://twitter.com/[...]
[46]
웹사이트
L'extrême droite de Twitter peut remercier Elon Musk
https://www.slate.fr[...]
2023-01-31
[47]
웹사이트
Renaud Camus - Twitter - 3:01PM, 4 Aug 2019
https://twitter.com/[...]
2019-08-04
[48]
서적
Le grand repli
La Découverte
[49]
뉴스
L'écrivain Renaud Camus condamné pour provocation à la haine contre les musulmans
https://www.lemonde.[...]
2014-04-10
[50]
웹사이트
Provocation à la haine contre les musulmans: La condamnation de Renaud Camus confirmée
https://www.20minute[...]
2015-04-09
[51]
뉴스
Fragments du " Journal de 1994 "
https://www.lemonde.[...]
2000-06-01
[52]
간행물
D'un scandale l'autre: l'affaire Renaud Camus et la faillite de la critique intellectuelle
2012
[53]
웹사이트
Le grand remplacement, un virus français (4/5) : la décennie Zemmour
https://www.francecu[...]
2019-11-05
[54]
뉴스
Le soutien de Renaud Camus à Marine Le Pen doit faire réfléchir les membres de la communauté juive
https://www.lemonde.[...]
2017-05-03
[55]
서적
Far-Right Politics in Europe
Harvard University Press
[56]
뉴스
Yann Moix condamné en appel pour avoir qualifié Renaud Camus d'"antisémite"
http://tvmag.lefigar[...]
2019-03-14
[57]
뉴스
Diffamation envers Renaud Camus : la condamnation de Yann Moix annulée
https://www.lefigaro[...]
2020-01-07
[58]
뉴스
The Gay French Poet Behind the Alt-Right's Favorite Catch Phrase
https://www.tabletma[...]
2019-08-27
[59]
뉴스
Sondage : les Gilets jaunes sont plus sensibles aux théories du complot
https://www.lejdd.fr[...]
2019-02-11
[60]
웹사이트
67% de Français inquiets par l'idée d'un "grand remplacement", selon un sondage
https://www.lefigaro[...]
2021-10-21
[61]
뉴스
The French Origins of "You Will Not Replace Us"
https://www.newyorke[...]
2017-12-04
[62]
뉴스
The Great Replacement
https://www.youtube.[...]
2017-07-03
[63]
뉴스
"'The Great Replacement': an idea now at the heart of Europe's politics"
https://www.smh.com.[...]
2019-03-19
[64]
뉴스
Generation Identity: Far-right group sending UK recruits to military-style training camps in Europe
https://www.independ[...]
2017-11-09
[65]
간행물
The "Great Replacement" conspiracy: How the perceived ousting of Whites can evoke violent extremism and Islamophobia
2022
[66]
매거진
Making Sense of the Racist Mass Shooting in Buffalo
https://www.newyorke[...]
2022-05-15
[67]
뉴스
Le fantasme du 'grand remplacement' démographique
https://www.lemonde.[...]
2014-01-23
[68]
뉴스
New Zealand attacks offer the latest evidence of a web of supremacist extremism
https://www.washingt[...]
2019-03-15
[69]
웹사이트
Européennes: l'écrivain Renaud Camus en tête de liste
http://www.lefigaro.[...]
2019-04-04
[70]
Audio
Le grand déménagement du monde
https://www.francecu[...]
2017-06-24
[71]
웹사이트
French 'Great Replacement' writer denounces 'appalling' NZealand attack
https://www.france24[...]
2019-03-15
[72]
뉴스
Renaud Camus' ideas may have inspired the Christchurch mosque slayings in New Zealand
https://www.washingt[...]
2019-03-15
[73]
뉴스
From Christchurch to El Paso, a Racist Lie is Fueling Terrorist Attacks
https://www.thedaily[...]
2019-08-04
[74]
뉴스
Turn Pushers of This 'Anti-White' Conspiracy Theory Into Pariahs
https://www.thedaily[...]
2022-05-15
[75]
웹사이트
Buffalo shooting: teenager accused of killing 10 in 'racially motivated' supermarket attack
https://www.theguard[...]
2022-05-15
[76]
웹사이트
Buffalo mass shooter's alleged manifesto leaves no doubt attack was white supremacist terrorism
https://www.wivb.com[...]
2022-05-14
[77]
웹사이트
10 killed in 'racially motivated' mass shooting at Buffalo supermarket, FBI says
https://www.cbsnews.[...]
2022-05-14
[78]
뉴스
Gov. Hochul on the mass shooting in Buffalo: 'An act of terror'
https://www.wwnytv.c[...]
2022-05-15
[79]
뉴스
Gunman Kills 10 at Buffalo Supermarket in Racist Attack
https://www.nytimes.[...]
2022-05-14
[80]
뉴스
Buffalo supermarket shooter was radicalized by New Zealand mosque killer
https://www.nydailyn[...]
2022-05-14
[81]
뉴스
Buffalo mayor says alleged shooter traveled 'hours from outside' the city to attack supermarket
https://www.cnn.com/[...]
2022-05-14
[82]
웹사이트
Racist screed linked to Buffalo mass shooter 'plagiarized' portions from Christchurch mosque shooter, expert says
https://www.wivb.com[...]
2022-05-16
[83]
뉴스
Buffalo gunman was inspired by racist theory underpinning global carnage
https://www.washingt[...]
2022-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